본문 바로가기
투자

부동산으로 망한, 망할 뻔한 나라 모음.zip[돈높이 교육:16]

by 김이박최정강조윤장임 2023. 12. 13.
반응형

부동산으로 망한, 망할 뻔한 나라 모음.zip

  부동산으로 망한, 망할 뻔한 나라 모음.zip
스브스 유튜브 채널에 [돈높이 교육]이라는 알기쉬운 경제정보 코너가 있습니다.
16강에서 강의한 부동산 관련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부동산으로 망할 뻔한 나라 모음

결론부터 말하면....

  어느나라나 국민들은 집을 원합니다. 그런 국민들의 꿈을 지지해주면 정치인들은 표를 얻고 당선됩니다. 그리고 대다수 국민들이 집을 갖게 됩니다. 이때 정부는 부동산의 공급과 가격을 조절하고 부동산보다 더 국가경제에 도움이 되는 산업에 집중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미 대다수 국민이 집을 소유했고, 집값이 떨어지는 것을 절대 원하지 않기 때문에, 정부는 집값을 낮추는 정책을 펼수 없습니다. 사실은 정부도 개인도, 기업도 모두 공범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시기를 놓친 부동산 가격은 천정부지로 오르다가 결국 무너지고 맙니다.

 

 

부동산으로 망할 뻔한 나라 모음1

일본

 일본은 부동산버블은 아주 유명한데, 1990년대에는 도쿄 땅을 팔면 미국 전체를 살 수 있을 정도였다고 합니다.
 일본의 부동산은 엄청난 속도로 상승했습니다. 상승의 가장 큰 이유는 일본 경제의 엄청난 호황입니다.
 당시 전 세계 시가총액 1등 회사부터 10등 회사를 보면 2등부터 10등이 전부 일본회사였습니다. 평범한 회사원도 여유자금이 넘쳐나던 시기였고, 회사가 보유한 돈도 많았죠. 그 돈들은 부동산으로 흘렀습니다.
 반면 정부는 치솟는 엔화가치가 수출을 가로막을까봐 저금리를 통한 엔저를 유지했습니다. 은행이자가 낮아져 대출이 쉬워지고 부동산에는 돈이 더 몰렸습니다.
 하지만 일본경제에 불경기가 오고 협약등의 이유로 금리를 올리게 됩니다. 실업이 많아지고 높아진 금리를 감당할 개인이나 많지 않았습니다. 살사람은 없고 파는 사람만 가득한 상황에서 일본 부동산은 순식간에 무너집니다.



부동산으로 망할 뻔한 나라 모음2

미국

 미국은 이민자들의 표심을 사기 위해 미국 정부는 그들에게 집을 제공하려 합니다. 그들의 신용은 좋지 않지만 그들에게도 부동산 담보 대출을 내줬습니다. 갚을 능력이 없는 사람들에게 대출을 내주는 것이 었습니다. 이 대출이 서브프라임모기지입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는 금새 거대해졌습니다. 누구든 가리지 않고 대출을 내주는 지경에 이릅니다. 또 이 안정적이지 않은 대출들을 모아 파생상품을 만들어 다시 판매하기 까지 합니다. 그리고 2008년 터지고 말았습니다.


부동산으로 망할 뻔한 나라 모음3

영국

  영국경제도 아주 힘든 상황인데, 영국도 개인이 집을 사기 아주 힘든상황입니다.
  2차대전 이후 전쟁으로 집들이 부서지고, 국민들이 살집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그때부터 꾸준히 집이 없는 사람들이 집을 살 수 있도록 정책을 펴옵니다.

 금융강국인 영국은 부동산 공급 정책을 잘 펴왔지만, 70년대부터 부동산에 버블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부동산버블을 잡아야 하지만 정부는 손을 쓸수 없습니다. 이미 과반수 국민이 집을 갖고 있고 그들은 부동산대출이 많은 사람들입니다. 집값이 떨어지면 몹시 곤란한 사람이 국민의 절반이 넘는 상황에서 표심을 무시하고 부동산버블을 제거할 수 있는 정부는 없었습니다.

부동산으로 망할 뻔한 나라 모음

우리나라

  우리나라도 자가 보유율이 50%를 넘어갑니다. 이 상황에서 정부는 부동산 버블을 꺼뜨리는 정책을 펼 수 없습니다. 정부도 우리도 모두 부동산 버블을 일으키는 공범입니다. 우리는 다 부동산을 갖길 원하고, 내가 부동산을 갖도록 도와주는 사람에게 표를 던지니까요.

 

부동산으로 망할 뻔한 나라 모음

마치며

  많은 사람들이 이미 부동산에 대해 염려하고 있는 만큼 일본이나 미국만큼 큰 위기는 피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전세계적인 불황과 이미 과열될대로 과열된 부동산. 그리고 계속되는 정부의 부동산장려와 부동산대출 장려를 보며 우리는 긴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부동산가격이 연착륙할 수 있을지 조심스레 살펴야 할 겁니다.

반응형

댓글